○ 1997년 중국에서 드라마<사랑이 뭐길래>부터 시작된 한류는 크게 3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해온 것으로 분석됨(한국문화산 업교류재단, 2009)
○ 한류 1기(1997년~2000년대 초)는 한류 콘텐츠가 해외 소비자 들에게 선을 보여 강한 인상을 주었던 시기로 평가됨 - 1990년대 말 댄스음악 중심의 한국가요가 중국, 대만 등지에 서 드라마의 인기를 이어감
○ 한류 2기(2000년대 초기~중반)는 한류 심화기로서 한류 드라 마가 크게 부각되었음 - 드라마 <겨울연가>는 일본 중년 여성층의 향수를 불러일으 키며 배용준 신드롬을 탄생시킴 - 드라마 <대장금>은 중국, 홍콩, 동남아, 중앙아, 아프리카, 동 유럽 등 전 세계에서 한류 붐을 일으키는데 큰 역할을 함
○ 한류 2기는 드라마 전성기라 할 수 있으나 음악, 온라인 게임 등 다른 콘텐츠의 성과도 무시할 수 없음 - 가수 보아 일본 오리콘 차트 1위 기록, 동방신기 일본과 중 국 등지에서 인기, 가수 비는 세계적인 스타로 부상 - 온라인 게임은 대만, 중국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 확보
○ 한류 3기(2000년대 중반~현재)는 한류가 중앙아시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확장되는 단계라 할 수 있음 - 새로운 지역과 국가에서 한류가 붐을 일으키며 도입 및 성장 기에 접어들고 있음 - 다양한 종류의 드라마가 각국의 환경에 따라 인기를 얻었으 며 특히 K-POP의 세계시장 진출이 두드러짐 12 신한류를 활용한 인바운드 관광정책 방향 - 또한 한류 3기는 한식, 한글 등 한 스타일과 같은 한국 문화 가 해외에 널리 소개되면서 한류의 외연을 한층 확대시키고 있음
'무역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류 문화와 마케팅 (0) | 2016.11.13 |
---|---|
한류와 간접수출효과 (0) | 2016.11.13 |
수출 증가하는 한국의 문화 컨텐츠 (0) | 2016.11.11 |
K-POP 유튜브 동영상 2011년 235개국 23억 번 조회 (0) | 2016.11.11 |
한류무역수지 2년 연속 흑자 (0) | 2016.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