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후감

북한비즈니스 진출 전략을 읽고

책 제목 : 북한 비즈니스 진출 전략

저 자 : 삼정 KPMG 대북비즈니스지원센터



 

김정은 집권 이후 2016년까지 약 5년간 북한은 장마당 확대로 유통업이 활기를 띠고 , 평양 등 주요 도시의 건설 붐과 인민 생활을 위한 경공업 투자로 경제 상황이 다소 호전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러한 모습은 한국은행의 북한 경제 성장률 추정 결과에서도 나타난다. 2016년 북한의 산업별 성장을 살펴보면, 전기가스 수도업은 수력 및 화력 발전이 크게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22.3% 증가했으며, 광업은 석탄, 아연광석 등의 생산 증가로 8.4% 성장했다. 제조업은 중화학 공업과 경공업을 중심으로 4.8% 성장하고, 건설업의 경우에도 건물과 토목 건설이 늘면서 1.2% 증가했다.” 어렵다고 하지만 김정은이 집권하고 오히려 발전했다고 한다. 최근 북한 책을 읽으며 남한에서도 북한에 대한 정보 부족이 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남북간 경제 협력과 북한에서의 비즈니스 활동을 위해서는 이를 가능케하는 상황에 대한 명확한 전제가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북한에서의 비즈니스 기회와 진출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정치, 제도, 인프라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전제 사항을 설정하고 한다.

1) 정치적으로는 과거 김대중, 노무현 정부 시절과 같이 남북한 정부가 경제협력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있고, 대북투자에 대한 경제 외적 제약 요인이 상당 부분 해소된 상태를 전제로 한다. 2) 제도적으로 대북 투자에서 문제가 된 투자자본의 보호, 과실(투자수익금)의 송금, 분쟁조정 절차 등이 개선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3) 인프라는 정부 차원의 개발 협력이나 국제적인 협조가 요구되는 분양이므로, 발전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확충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수 십년을 갈라져 살았으니, 얼마나 많은 것을 다를까? 고치고 합쳐야 할 것이 많을 것이다.

 

남북교류에서 남한 (건설)기업의 SWOT 분석

강점 : 언어, 북한 진출시 동일 언어의 사용으로 북한 근로자들과의 협업이 용이하다는 것을 강점으로 삼을 수 있으며, 지리적으로도 인접하고 있어 인력 이동 및 자재 운반시 비용절감이 가능하여 비교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약점 : 자본조달력. 북한 인프라 사업 참여시 중국의 기업들은 국가 차원에서 강력한 재정지원을 할 것이다. 게다가 중국은 북한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온 이웃국가다. 우리 건설사들에는 약점이다.

기회 : 개보수 북한은 인프라의 노후화에 따라 개발 및 개보수의 수요가 크므로 남한 건설사에는 기회로 작용할 수있다. 북한의 인프라산업 개방 초기부터 적극적 수주전략으로 진출에 성공한다면 향후 공사들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위협 : 정치 북한과 국제 사회의 다양한 갈등과 제재 국면이 남한 건설사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단순 도급방식이 아닌 투자개발형 사업 방식을 추진할 경우에는 그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이다.

 

북한 개발자원 조달 방법에는 3가지가 있을 수 있다. 1) 한국 기업의 전략적 투자, 2) 한국 정부의 재정 지원, 3) UN, MDB, NGO로 구성되는 국제 사회의 공적자금 활용이다. (.....) 부족한 자원 조달을 위해서는 민간 부문의 역할이 중요하다. (.....) 글로벌 민간 기금들은 국제적 어젠다인 지속가능 발전사업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북핵 문제가 해결되기만 하면 북한의 지속가능발전 지원에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 북한과 남한의 공동 지속가능 발전 사업들이 빨리 커지기를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