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창업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외 영업 케이스 스터디용 자료 만들며 이 번에 쓰는 무역실무는 말이 무역실무이지 실제적으로는 무역창업부터 수출마케팅을 망라하는 내용으로 구상하고 있습니다. 일단 용어는 수출마케팅으로 정하고 합니다. 수출마케팅, 해외마케팅, 국제마케팅, 글로벌마케팅 등 여러 용어가 있고, 각 용어마다 미묘한 차이는 있습니다. 수출마케팅은 한국의 물건을 해외에 수출하는 것으로, 국제 마케팅이 가장 기본적이 수준이고, 거의 99%에 해당하는 수출업체들이 여기에 속하지요. 제가 어차피 삼성이나 LG수준의 마케팅을 논할 것이 아닌 바에는 애매하게 포지셔닝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했던 자체 브랜드, 수출마케팅을 케이스 스터디로 합니다. 누구는 '필맥스'이야기를 하면 보편타당하지 않다고 하는데, 어떤 경우에나 쓸 수있는 보편타당안 케이스는 없습니다. 그러니.. 더보기 해외 마케팅에 관한 실무서를 쓰며 해외 마케팅에 관한 실무서를 쓰며 해외 영업에 관한 실무와 이론을 총 정리하는 책을 쓰려고 합니다. 기초 실무부터 생산관리까지 쓰려니 내용이 무척 많아집니다. A4용지로 700 - 800 페이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역창업, 무역서류, 해외 영업 실무, 무역협상, 실무용 국제 마케팅 이론 등등 한국말로 하는 실무는 물론이고, 협상영어, 영문계약서 검토, 영어 프레젠테이션까지 영어 실무로 씁니다. 국제정치경제에 관해서는 현재 연재하고 있는 조세일보의 '무역이야기'에 써가며 정리하고, 실제 강의에서는 즉흥적인 시사점도 감안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아무래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많이 받으니까요. 자료는 새로 만들 것은 많지 않습니다. 기왕에 쓰고 강의했던 것을 정리하면 되니까요. 온라인 수출분야는 이번 .. 더보기 청년 취업 - 해외 영업이 답이다 청년 취업, 해외영업이 답이다 -국내 공급자와의 문제 젊은 무역상이 보는 제조업자와의 어려움 청년들이 무역 분야에서 창업을 하려면 어쩔 수없이 무역업이나 무역대리업으로 시작할 수밖에 없다. 경험이 일천한 그들이 부동산을 임대하거나 구매하고, 그 위에 생산 설비를 설치한 후에 이를 움직일 기술자와 노동자를 고용하여 생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은 기술적인 지식은 물론이고 여러 사람을 다루어야 한다. 사람관계에 익숙하다고 생각하는 중장년층도 어려워하는 노사관계를 젊은 층이 감당하기에는 아직 경험이 부족하다. 그렇기에 일단은 남이 만든 제품을 수출하면서 차차 경험을 쌓아가는 게 정석이다. 그래서 이들로서는 팔릴 만한 물건을 찾아서 해외 바이어들과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이 급선무이다. 그런데 .. 더보기 무역 창업 강의 경희대 사회교육원에서 무역 창업에 대한 강의를 합니다. 강의 내용은 '결국 사장이 문제다' 중에서 사업을 시작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사항, 특히 '선취론'과 '소모전'을 중심으로 사장이 자기 사업에 대하여 모든 것을 잘 알아야 한다는 점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일반적 창업과 더불어 오퍼업, 무역업 창업에 필요한 공급처와의 관계, 아이템 찾기위한 노력등도 주요 내용입니다. 이 시간은 강의를 위한 시간이라기 보다 앞으로 창업할 분들이 질문을 하고, 제가 대답하는 토론 위주의 수업으로 합니다. 그래도 시간이 언제나 부족하더라고요. 그만큼 궁금한 게 많은 거지요. 더보기 무역&오퍼상 무작정따라하기 준비마당 무역이 뭐예요? 01장 | 무역에 관하여 무역은 장돌뱅이가 하던 일과 비슷하다 [잠깐만요] 절대우위론과 비교우위론 무역은 크게 수출과 수입으로 나뉜다 [잠깐만요] 백문이 불여일견, 벤치마킹 상대를 찾아라 02장 | 나와 무역은 궁합이 맞을까요? 일과 성격, 궁합이 맞아야 한다 영어는 필수! 열려 있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잠깐만요] 무역은 업차별로 편차가 크다 03장 | 무역, 어떻게 시작할까요? 팔 물건도, 바이어도 없다면? [잠깐만요] 홍서방의 처음 수출품목이 궁금하다고요? 물건을 사줄 바이어가 있다면? 팔 물건은 있는데 사줄 바이어가 없다면? [잠깐만요] 수출을 위한 정부의 지원을 최대한 활용하자 [현장에서 말한다] 유럽: 유러피언 드림과 무역환경 [홍서방 생각] 사람들은 왜 무역업을 선호..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