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고쓰기

창업의 장점과 단점 창업의 장단점 내가 코트라 파나마무역관에서 귀국하여 사표를 내고 사업자 등록을 한 게 1995년 4월 12일 이다. 벌써 20년도 넘었다. 그 사이에 나름 잘 돼보기도 하고,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그리고 돌아보니 해봤던 아이템도 수 백가지는 족히 된다. 그 때는 열정이 하늘을 찌를 듯했고, ‘삼성’이나 ‘현대’같은 것을 여러 개 만들어 낼 거라고 큰 소리쳤었다. 아직까지 그런 회사를 하나도 만들지는 못했지만, 지금도 열심히 무역을 하고 있으니 머지않아 여러 개는 아니어도 한 두 개쯤은 만들어낼 거다. 장사를 하다 보니 사업 시작한 것을 후회할 때도 많았고, 살 맛난다고 좋아했던 때도 많았다. 뭐든지 좋은 점이 있고, 나쁜 점도 있기 마련이니까. 일단 자기 사업은 잘 되야 한다. 그럼 월급장이 생활과는 .. 더보기
중간재도 좋지만 완제품 대중국 수출에 힘써야 한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흑자 폭의 감소가 매우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대일본 무역흑자나 대미국 무역 흑자와 비교하여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일본과의 무역에서는 200억달러 내외의 적자, 미국과의 무역에서는 200억 달러 내외의 흑자를 꾸준히 내고 있다. 그리고 한국의 대일본, 대중국 그리고 대미국 주요 수출 품목은 산업재/기술재이다. 문제는 대중국 무역흑자가 빠른 속도로 줄고 있다. 지난 8.4일 KIEP에서 발간한 ‘한국의 대중국 무역수지 변화와 시사점’에 의하면 대중국 무역수지는 1993년 12억 달러로 흑자 전환된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3년에는 628억 달러로 확대되었으나 2016년에는 375억 달러로 대폭 축소되었다. 한중 교역 대비 흑자 비율도 1993년 13.5%에서 2004년에는 2.. 더보기
비즈니스 영어 : 비즈니스맨이 필요로 하는 협상 기술 비즈니스 맨이 필요로 하는 협상기술, 9가지 비즈니스 맨은 늘 누군가와 무언가를 협상하며 산다. 굳이 협상이 아니라도 소통하며 살며 남의 인상을 찌뿌리지 않게 하며, 내가 의도하는 바를 잘 관철시키는 기술은 필요하다. 그 9가지 기술을 정리한다. 1) 문제 분석 (Problem analysis) Effective businessman must have the skills to analyze a problem to determine the interests of each party in the negotiation. A detailed problem analysis identifies the issue, the interested parties and the outcome goals. For example.. 더보기
해외 영업 케이스 스터디용 자료 만들며 이 번에 쓰는 무역실무는 말이 무역실무이지 실제적으로는 무역창업부터 수출마케팅을 망라하는 내용으로 구상하고 있습니다. 일단 용어는 수출마케팅으로 정하고 합니다. 수출마케팅, 해외마케팅, 국제마케팅, 글로벌마케팅 등 여러 용어가 있고, 각 용어마다 미묘한 차이는 있습니다. 수출마케팅은 한국의 물건을 해외에 수출하는 것으로, 국제 마케팅이 가장 기본적이 수준이고, 거의 99%에 해당하는 수출업체들이 여기에 속하지요. 제가 어차피 삼성이나 LG수준의 마케팅을 논할 것이 아닌 바에는 애매하게 포지셔닝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했던 자체 브랜드, 수출마케팅을 케이스 스터디로 합니다. 누구는 '필맥스'이야기를 하면 보편타당하지 않다고 하는데, 어떤 경우에나 쓸 수있는 보편타당안 케이스는 없습니다. 그러니.. 더보기
해외 마케팅에 관한 실무서를 쓰며 해외 마케팅에 관한 실무서를 쓰며 해외 영업에 관한 실무와 이론을 총 정리하는 책을 쓰려고 합니다. 기초 실무부터 생산관리까지 쓰려니 내용이 무척 많아집니다. A4용지로 700 - 800 페이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역창업, 무역서류, 해외 영업 실무, 무역협상, 실무용 국제 마케팅 이론 등등 한국말로 하는 실무는 물론이고, 협상영어, 영문계약서 검토, 영어 프레젠테이션까지 영어 실무로 씁니다. 국제정치경제에 관해서는 현재 연재하고 있는 조세일보의 '무역이야기'에 써가며 정리하고, 실제 강의에서는 즉흥적인 시사점도 감안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아무래도 국제 정세에 영향을 많이 받으니까요. 자료는 새로 만들 것은 많지 않습니다. 기왕에 쓰고 강의했던 것을 정리하면 되니까요. 온라인 수출분야는 이번 .. 더보기
청년 취업 - 해외 영업이 답이다 청년 취업, 해외영업이 답이다 -국내 공급자와의 문제 젊은 무역상이 보는 제조업자와의 어려움 청년들이 무역 분야에서 창업을 하려면 어쩔 수없이 무역업이나 무역대리업으로 시작할 수밖에 없다. 경험이 일천한 그들이 부동산을 임대하거나 구매하고, 그 위에 생산 설비를 설치한 후에 이를 움직일 기술자와 노동자를 고용하여 생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은 기술적인 지식은 물론이고 여러 사람을 다루어야 한다. 사람관계에 익숙하다고 생각하는 중장년층도 어려워하는 노사관계를 젊은 층이 감당하기에는 아직 경험이 부족하다. 그렇기에 일단은 남이 만든 제품을 수출하면서 차차 경험을 쌓아가는 게 정석이다. 그래서 이들로서는 팔릴 만한 물건을 찾아서 해외 바이어들과 거래를 성사시키는 것이 급선무이다. 그런데 .. 더보기
한중일 3국의 FTA 전략 한중일 3국의 FTA 전략 󰏚 한·중·일 3국 모두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FTA의 진전 필요성에 공감 하면서도 상호, 특히 중·일간에 지역통합전략이 일정 부분 상충되고 있어 실질적인 통합 노력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음 󰏚 (한국) 동시다발적 FTA 전략에서 선택과 집중, 소통 강화, 활용도 제고 전략으로 전환 ◦ 다자적 통상협력에 치중해 오던 한국은 2003년 ‘FTA로드맵’을 통해 동시다발적 FTA 추진전략을 수립, 실시 - 미국, EU 등 복수의 거대시장을 상대로 고수준(개방 폭이 넓은)의 포괄적(상품 분야 외에 투자, 서비스, 규범 분야 등을 FTA에 포함)인 FTA를 추진 - 이를 통해 세계 최초로 미국, EU등 거대시장과 FTA를 발효시키고, 중국과 협 상을 진행하는 등 ‘FTA 허브’로 부상 ◦.. 더보기
(조세일보) 품질이 지나치게 높아도 경쟁우위가 없다 해외시장에서 경쟁우위 확보(1) 무역을 하면서 세계 시장에서 1위를 한다는 것은 쉬울까, 어려울까? 쉬울 수도 있고, 어려울 수도 있다. 그건 순전히 자기가 자기를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달려있다. 1등이라는 숫자가 절대인 것 같지만 상대적인 의미에서 숫자이다. 학생의 예를 든다면 8명인 분단에서 1등인지, 40명인 반에서 1등인지, 500명인 학년에서 1등인지에 따라 1이란 숫자의 의미가 달라진다. 세계 1등기업도 마찬가지이다. 잭 웰치가 GE의 회장이 되고나서 구조조정을 하면 '세계 1등 부문이 아니면 폐쇄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런데 막상 보고서를 보니 세계1등이 아닌 부분이 없었다. 즉 사업부문을 협소하게 정의를 내리면서 어떤 부분이든지 1등으로 자리매김하게 되고 자기 사업분야는 폐쇄하지 않아야 한.. 더보기
무역업으로 창업하고 싶은 아이템 강의를 나가면 강의 주제에 맞는 질문서를 만들어 수강생에게 답하게 합니다. 혼자만 이야기하지 않고 같이 이야기할 꺼리를 만들기 위함이지요. 그 중에 하나가 무역 창업시 하고 싶은 아이템은 무엇인가? 입니다. 그럼 대체로 현재 유행하는 아이템이 나옵니다. 화장품이 그 대표적인 품목입니다. 그런데 생각지도 못한 품목이 나오기도 합니다. 호떡 같은 거지요. 그런데 해외 시장조사를 해보니 꽤 될만한 아이템이라고 나오네요. 수업 시간에 제출한 것으로 토론합니다. 그리고 모든 사람의 생각에 제 생각을 달아서 나중에 알려주지요. 재미난 품목도 있고 황당한 품목도 있습니다. 그러면서 야~ 저거하면 되겠다 하는 생각도 들고요. 10년후에는 어떤 품목이 나올지 궁금합니다. 그 때까지 제가 강의하고 다닐까요? 더보기
비즈니스 협상 - 협상시 얻을 수있는 이익을 충분히 미리 알리자 비즈니스 협상 - 협상시 얻을 수있는 이익을 충분히 미리 알리자 1999년에 인터넷을 통하여 핀란드와 독일의 바이어를 만난 후부터는 발가락양말의 수출이 급격히 늘어났다. 그런데 가져가는 것은 각자의 이름을 달고 나갔다. 미국과 카나다에는 Toepia, 독일에는 Kim's 그리고 핀란드에는Feelmax라는 브랜드를 사용했다. 그러다보니 바이어들은 자기의 지역에 대한 마케팅만을 하게 되고, 매출 신장이 둔화되기 시작했다. 핀란드는 인구 500만에 불과해서 애초부터 시장이 크지 않았다. 독일은 비교적 시장이 넓기는 하지만 Kim이라는 한국적인 이름으로, 게다가 소규모회사이다보니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더 큰 회사로 키우고 싶고 내 이름으로 장사를 하고 싶은 욕심이 컸던 나로서는 나로서는 적극적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