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과 문화

한류문화 진흥방안

한류 문화 진흥방안

 

 

 

 

 

한류에 대한 인식

 

○ 새로운 성장 동력 : 1990년대 이후 국제정치의 권력 작용에 있어 문화를 주축에 두는 소프트파워론2)의 대두,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브리 튼’(Creative Britain)3)과 같은 신경제 성장의 원천으로 창조산업 육성정 책 등의 모델에 힘입어, 한류는 경제성장과 국가 위상 제고를 위한 새로 운 전략적 토대로 인식되고 있음

 

○ 서구 중심을 극복하는 새로운 기회 : 한류는 오직 서구를 통해서만 자신 의 존재를 확립해온 비서구인들이 대중문화의 공유를 통해 대안적 의식 을 형성하는 새로운 기회임

 

○ 새로운 초국적 국민문화의 출현 : 한류, 특히 K-Pop은 국지적으로 생산 하되, 글로벌하게 소비하라는 신자유시대의 산업 성장 슬로건에 따라 생 산된 초국적인 ‘국민문화’로 인식되고 있음

 

 

 K-Culture, 한류의 발전에 주는 함의

 

○ 전세계적으로 1990년대 중반이후 문화자산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면서 문 화산업의 성장으로 컬처노믹스(Culturenomics)가 부상하였음

 

○ 문화 선진국들은 문화가 창의 원천이자 국가⋅도시 성장의 인프라로 인 식하고 문화를 국가 발전의 키워드로 삼아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 ▫ 이러한 기반하에서 영국, 일본, 중국의 문화산업, 창조산업에 대한 지원 및 진흥책은 국내 문화 및 문화산업의 진흥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 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던지고 있음

 

○ 영국, 일본, 중국의 문화정책 사례는 각각 격조 있는 영국문화와 영국상 품, 매력적인 일본문화와 일본상품, 전통과 포용력을 갖춘 중화문화와 미 래 중국의 가치 등을 역설하는 문화전략이자, 서비스 중심으로 이동하는 경제 상황에 대한 대응임

 

○ 영국의 창조산업에 대한 국가의 역할은 문화산업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접근이 대단히 신중하고, 구체적인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창조산업의 문화정책에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은 사회적⋅경제적 효과 에 입각한 문화정책임 ▫ 영국의 창조산업 인프라 확대는 예술적 우수성을 담보함으로써 예술과 창작이라는 문화적 산물이 사회나 경제에 공헌하도록 하는 전략을 수행

 

○ 일본의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정책은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창조 국가건설을 목표로 일본 소프트파워를 높여 국가브랜드 구축을 총괄할 수 있도록 상 위 진흥체계 구성, 지적재산기본법 제정, DMC 등 국가지원 하에 연구개 발을 활성화하는 정책임

○ 중국의 경우 대외 개방을 통한 선진자본 및 기술의 유입과 문화콘텐츠의 국제화 추진, 자국 내수시장을 겨냥한 독자적인 문화콘텐츠의 제작⋅보 급, 미래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시장 전점을 위한 국가 차원의 산업육성지 원을 문화콘텐츠산업 진흥정책의 방향으로 정립 ▫ 중국이 문화산업 진흥정책의 핵심에는 중국의 취약한 분야가 다름 아 닌 소프트파워 즉 문화적 리드십의 부재라는 인식에서 출발

 ○ 일상적 삶의 질을 개선하는 ‘살아 있는 K-Culture’와 국제경제 환경에서 의 사업 및 브랜드로 기능하는 한류, 나아가 한국의 국가적 생존과 세계 문화에의 참여 및 평화적 공생에 기여하는 한국문화 사이의 체계적 관계 수립이 필요함 ▫ K-Culture의 역량 강화는 자원, 콘텐츠, 인프라, 국제환경의 안정적 조 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한국인의 문화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 ▫ 산업적 기초에 의거하지 않을 때 문화 창조 역시 위기에 놓일 수 있음 을 보여주는 영국 문화정책의 상황, 일본 문화정책의 복잡성과 둔중한 대응 속도, 중국 문화정책의 중화주의에 대한 위화감 등을 참고하여 한류문화 진흥 방안을 수립해야 함

 

 ○ 한류의 안정적 이행을 위해 선제적이고도 과감한 예산상의 배려가 있어 야 하며, 각국의 문화정책 사례에서 나타난 약점들을 거울삼아 ① 지나친 경제주의 ② 문화적 우월주의 ③ 정책적 방향의 모호성을 극복해 나가야 함

 

○ 한류의 진흥 방향은 ‘인간본위’, ‘법고창신’, ‘세계교린’의 틀에서 방향을 잡아 나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실천적 목표는 ‘국가브랜드 제고, 한 류 경제 효과 증대, 삶의 질 향상’이 되어야 함

 

○ 한국의 전통문화, 현대예술, 문화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진흥정책의 활성 화는 다양한 관련 조직 간 기능과 역할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진흥 업무 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임 ▫ K-Culture의 역량 강화는 국내외의 급속한 변화 가운데 전통문화, 현 대예술, 문화산업을 통해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고 인간상호간에 연대 감을 창출하며, 문화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모든 국민이 진정으 로 여유로움과 풍요로움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 ▫ 한국의 문화적 역량에 기반한 한류의 안정적 이행을 위해서는 문화산 업 진흥정책에 있어서 패러다임적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사업의 개발과 더불어 과감한 예산 투여가 이루어져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