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한류와 국가브랜드의 관계
○ 기존 연구를 검토해보면 한류 이용 경험과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
는 대체로 정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고 정리할 수 있음.
○ 이러한 정적 관계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능성을 내포. 1) 한류의
국가이미지 촉진; 2) 국가이미지의 한류 효과 부양; 3) 양자 공존 또는 상관관계의 존재
가. 한류의 국가이미지 촉진(배양 효과 - cultivation effect)
○ Gerbner(1998)는 특정 대중매체에 장시간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그 매체가 담고 있는 폭력, 성차별 등과 같은 가치체계까지 습득하게
됨을 지적하고 이를 “배양 효과(cultivation effect)”라고 칭함.
○ 이 효과는 대중매체 중에서도 특히 텔레비전이 청소년과 어린이들에
게 미치는 영향을 잘 설명한 대중매체 이론의 대표격으로 꼽힘. 예를
들어, 살인과 범죄 장면이 많이 들어있는 텔레비전 시리즈를 자주 시
청할 경우 세상이 폭력과 범죄로 가득 차 있다고 인식하는 이른바
‘비열한 세계 신드롬(mean world syndrome)’에 빠지게 됨.
○ 동남아 지역에 강하게 형성되고 있는 한류 팬 집단을 고려해보면, 그
들이 한국인, 한국 문화의 가치체계에 강하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국가브랜드위원회 등의 조사결과(2011) 역시
이를 강하게 뒷받침 하고 있음.
나. 국가이미지의 한류붐 견인(후광 효과 - halo effect)
○ 국가이미지는 특정 매체의 수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종의 브랜
드 파워를 가지게 됨.
○ 우리가 개발도상국 시절, “일제”라는 점 하나로 전자제품을 비싼 가
격이라도 믿고 구입하였듯이 특정 나라에 대한 신뢰(trust), 공신력
(credibility) 부여, 믿음(belief)은 그 나라에서 온 사람과 제품에 대한
선호를 창출
○ 이런 심리적 기제는 특정 브랜드에 대한 신뢰를 부여함으로써 복잡
한 고려 단계를 단순화 시킬 수 있는 인지적 비용 절감 효과를 초래
하게 되며, 인간의 인지적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레 등장하는 현상임.
○ 한국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로 전자제품, 핸드폰, 자동차 등 기술적
선진도가 압도적인 현상은 우리나라의 하이테크 제품 수출을 촉진하
기도 함.
○ 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한류 드라마에 등장하는 배경이나 인
물들에 대해 막연하면서도 설명하기 어려운 호감(liking)을 불러일으
키는 경우가 바로 후광 효과가 작동하는 사례라고 말할 수 있음.
다. 한류-국가이미지 간의 동조 /상관 효과(coupling / correlational
effect)
○ 한류와 국가이미지 간의 관계는 선후 혹은 인과관계를 판단하기 어
렵지만 서로 비슷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음.
○ 이러한 동조성(coupling effect)은 현재까지 누적된 한류, 국가이미지
관련 데이터에서 대체로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
○ 동조성이 일어나는 이유로는 우리나라의 경제 및 문화 발전이 대체
로 한국 미디어의 해외 진출과 함께 증가해왔기 때문이라고 판단됨.
○ 이러한 동조성은 항상 일어난다고 보기는 어려움. 예를 들어 일본의
오랜 경제난과 지진, 쓰나미 등 재해로 인한 국가이미지의 손실은 정
밀기계,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일본이 갖고 있는 공신력을
크게 손상시키지는 못하고 있음. 동조성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임.
○ 동조성은 일면 단순한 선형 상관관계로 판단하기 쉬우나, 사실 특정
국가나 문화에 대한 이미지가 대인간 채널, 매스미디어 채널, 소셜미
디어 채널 등을 통해 다자간 커뮤니케이션 관계 속에서 형성됨을 고
려할 때 그 바탕에 있는 동적인 속성을 파악할 때 비로소 제대로 이
해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한류를 통한 국가이미지제고방안, 김장현 하와이대 교수)
'무역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류열풍 ‘배후’에 그들이 있다 (1) | 2016.11.16 |
---|---|
"한류서 민족주의 빼야" 박진영 하버드대 기조연설 (0) | 2016.11.16 |
한류문화 진흥방안 (0) | 2016.11.15 |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문화 한류의 계시와 의의 (0) | 2016.11.15 |
한류 문화와 마케팅 (0) | 2016.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