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과 문화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문화 한류의 계시와 의의

 

1990 년대 한국에서의 정치사회적인 민주화 이후, 90 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문화적 민주화 결과로 문화한류 가 탄생하게 되었다. 민주화 이후에 성립된 성숙된 언론 출판문화는 작가들의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충족시켜준 것이다 . 한류가 최고조로 발전하던 시기에 는 개발지상주의 전통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서 전통과 반전통이 대립과 조화를 이루고, 동양문화와 서양문화의 충돌과 조화, 이에 따라서 유가적인 획일화에 대한 반사( 反思) 와 반유가적 다원화적인 사유가 작품을 통해서 다양하게 체현되고 있었던 가장 역동적인 시기였다 . 아울러 국가마다 문화적인 배경이 다른 문화소비자들은 자기의 취향과 시장의 특성에 따라서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국에서의 설문조사 및 대만에서의 연구결과로 본다면 중화권 지역의 문화한류 추종자들의 취향은 스토리텔링이 가장 지배적이다 . 그 다음으로 멋진 배우의용모와 연기력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문화한류열풍의 주역은 여성들이다 . 이들은 대부분 1990 년대부터 고등교육을 받은 고학력 직업군들이며 , 국문과와 문예창작학과가 약 50% 비율을 차지하며 , 기타학과도 약 50% 의 비율을 점하고 있다. 학문적 분류에서는 인문학교육이 문화한류 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위주의 드라마 작가들은 문화한류의 유행에 크게 공헌하였을 뿐만 아니라 , 대내적으로 도 드라마를 통해서 점진적으로 한국사회의 변혁을 이끌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남성들은 보수적인 관점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 21 세기 디지털 문화시대에 사회적인 변혁에도 주도적이지 못하였. 특히 드라마 위주의 문화한류전파와 생산에 있어서 능동적이지 못했다는 면에서 보면 현대 사회에서 남성의 역할은 제한 적인 것으로 보인다 . 이에 비해 여성들은 유연한 사고와 탈근대적인 철학으로 한국사회의 보수성과 낙후된 관념에 대해 비판을 가하면서, 안방에서 TV 를 통해서 한국 사회의 진보성을 견인하였고 , 이를 통해서 한류 열풍을 세계로 유행시킨 소프트 파워(softpower) ’의 역할을 담당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사실 한류의 유행은 폐쇄적인 시스템 보다는 개방적인 시스템 , 남성위주·권위주의 사회보다는 양성위주·민주적인 평등한 사회 , 유가적인 획일화된 문화보다는 탈유가적인 다원화된 문화, 하드웨어를 중시하는 정책보다는 소프트웨어를 중시하는 정책 속에서 태동되었다. 아울러 전통적인 질서의 고수보다는 기존질서에 대한 변화를 추구하는 , 이러한 전통과 반전통의 대립과 조화를 토대로 한국사회의 다양성과 개방을 추동하였고, 한류문화는 규제와 보호의 틀에서 벗어나 자생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는 한국대중문화의 다원화와 혼종화를 가속화시켰으며 경쟁력이 강화문화한류라는 새로운 열풍을 만들었던 것이다 .

(출처 : 인문학적 관점에서 본 문화 한류의 계시와 의의, 박영환)

'무역과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류와 국가브랜드의 관계  (0) 2016.11.16
한류문화 진흥방안  (0) 2016.11.15
한류 문화와 마케팅  (0) 2016.11.13
한류와 간접수출효과  (0) 2016.11.13
한류의 발전단계  (0) 2016.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