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과 문화

17개국의 국가이미지에 대한 한국인의 생각

§ 한국과 세계의 평가를 비교한 [그림2]는 세계인의 17개 국가에 대한 긍정적 평가비율 평균(가로축) 과 한국인의 17개 국가에 대한 긍정적 평가비율(세로축)의 순서쌍으로 좌표평면에 그린 그림이다. 원점에서 45도 각도의 가상선이 세계인의 인식과 한국인의 인식이 일치하는 기준선이고 좌상단은 한국인의 평가가 세계 평균보다 우호적인 영역이고, 기준선의 우하단은 세계인에 비해 한국인의 인식이 부정적인 국가 영역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의 산점위치를 보면 우상향 선형관계를 보여주고 세계인의 선호와 한국인의 선호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차이점
① 압도적인 친서방 국가 편향3) 한국인의 국가평가, 독일 84%, 캐나다 76%, 영국 74%, 프랑스/EU 70% 독일국민의 독일 선호 68% 그쳐, 세계 평균보다 15% 포인트 이상 높아

§ 전체적인 선호 순위에서는 공통점이 있었지만, 그 강도에서는 큰 격차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세 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은 서유럽 국가들에 대해 한국인이 긍정적으로 평가한 비율은 당사국 국 민이나 EU 공동체에 참여하는 인근 유럽국가들이나 오랜 협력관계를 유지해온 북미 국가들의 평 가보다 더 높았다. 비유럽 국가들이나 문화권이 다른 나라들에서는 서유럽 국가들에 대한 긍정적 평가비율이 유럽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 한국의 경우 지역적으로도 거리가 있을 뿐 아니라 문화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에 대해서는 84%, 캐나다 76%, 영국 74%, 프랑스/EU 70%로 긍정적인 평가가 압도적이었다.



주변국 과소 평가 편향 : 일본, 북한, 중국 세계 평균(일본 49%, 북한 19%, 중국 42%) vs. 한국 국민(일본 15%, 북한 3%, 중국 32%)

§ 친서방/친미 편향과 대조적으로 한국인들의 주변국에 대한 과소평가 편향이 발견된다. 일본의 경우 가장 큰 가치절하의 대상이다. 일본은 세계적으로 21개국 평균 49%로 과반에 가까운 높은 지지를 받았지만, 한국에서는 15%에 불과해 34%p 이상 차이가 난다. 한국 국민들의 일본에 대한 평가절 하 현상은 식민지 경험으로부터 오는 뿌리 깊은 반일정서에 어느 정도 기대어 있는 것은 사실일 것이다. 그러나 2014년 조사결과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일본 폄하 태도는 아베정부 등장 이후 한국 과 일본 사이의 역사 분쟁, 독도 논란, 일본의 군사화 노선에 대한 한일 외교마찰이 강화된 결과이기도 하다.  아베정부 등장 이전까지 한국에서 일본에 대한 긍정적 인 평가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국 국민들의 일본에 대한 평가절하 현상이 단순한 반일감정의 산물이라고만 볼 수 없다.

§ 한편 북한과 중국에 대해서도 세계 평균보다 10% 포인트 이상 부정적인 태도가 나타난다. [그림4] 를 보면 북한의 경우 세계 평균 19%, 한국 평균 3%로 16%p 이상 차이가 나고 있다. 북한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이 나쁜 것은 역시 2000년대 중반이후 가속화된 핵실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천 안함과 연평도 포격사건 등 북한발 군사적 위협이 강화되어 왔다는 점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인 다. 한국은 그 위협의 직접적인 대상이 된다는 점이 한국에서 세계 평균보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 평가를 강화시겼다는 것이다.

§ 중국에 대해서도 세계 평균은 42%인데, 한국 국민들의 평가는 32%로 10%p가량 낮았다. 중국의 경 우도 한국에서 중국에 대한 평가가 다소 개선되는 추세로 돌아서기는 했지만(여론브리핑 139호), 여전히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하다는 것이 이번 조사에서도 확인된다. 고구려사 문제, 중국 어선 침범으로 인한 한중경제마찰, 식품안전 문제 등 다양하게 양국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었고, 특히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해 중국의 감싸기 외교행보는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강화시켜왔다. 시진핑 체제 이후 중국의 북한에 대한 태도 변화 및 한중 정부간 협력의지가 자주 한국 국민들에게 알려지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가 한국에서의 중국 인식 개선이 이루어질지 지켜 볼 대목이다.

(출처 :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